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간소화 서비스
매년 연초가 되면 돌아오는 일이 있었으니 바로 연말정산이다. 한때는 13월의 보너스라고도 할 정도로 연말정산하면 넉넉하게 돌려받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던 것 같은데 어느 순간부터 13월의 보너스인지, 아니면 13월의 세금인지 모를 정도로 빡빡하게 변해버린 것 같은 연말정산 시즌. 하지만 계획만 잘 세우고 소비를 효율적으로 잘하면 보너스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 과연 올해는 내가 토해내야 할지 혹은 돌려받을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연말정산 환금 조회하는 방법을 정리해본다. 연말정산간소화서비스

연말정산은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임의로 내가 환불받을 수 있는지 아니면 내가 토해내야 하는지 조회해볼 수 있는 서비스다. 그동안 연말정산을 계속해 온 사람도, 혹은 올해 처음 하는 사람도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환급금 조회를 할 수 있다는 사실! 이렇게 조회하기 전에 우선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연말정산 자료를 골라볼 수 있다.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쳐 연말정산 자료부터 환급금까지 조회할 수 있으니 순서대로 천천히 따라오길 바란다.
1. 우선 네이버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검색해 접속해준다.

2.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는 1월 15일부터 1월 25일까지 제공되고 있는데, 지난주 서비스가 시작됐을 때는 사람들이 많이 몰려 접속이 조금 느린 감이 있었으나 현재는 빠르게 접속해 진행해 볼 수 있다.윗창에서 연말정산 간소화를 눌러준다.
3. 그리고 순서대로 하나씩 눌러 조회를 해야 한다.1) 귀속년도는 2023년분을 조회해야 하므로 2023년으로 바꾼 후 1월부터 12월까지 체크하고 2) 돋보기를 하나씩 클릭하여 조회해 준다.3) 그리고 조회가 완료되면 ‘한 번에 다운로드’를 클릭해주자.4. 그렇다면 소득, 세액공제 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는 창이 뜨는데 내가 조회한 항목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니 내려받기를 선택하면 된다. 회사에서 제출하라고 한 형태가 PDF인지 인쇄물인지 확인 후 내 필요에 따라 다운로드 해주면 완료!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이로써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해 내 자료 조회를 마쳤으니, 그렇다면 한 해 동안 내가 쓴 돈 대비 내가 번 돈이 얼마인지 조회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내가 돌려받거나 지급해야 할 세금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다.1. 귀속연도를 2023년으로 설정한 후 예상세액을 클릭한다.2. 그리고 위와 같은 페이지가 뜨는데, 먼저 근무처 반영하기를 클릭하고 공제신고서 읽기를 눌러준다.총급여 및 기납부세액 수정은 사전에 미리 근로자에 대한 기초자료가 제출돼 있으면 별도의 설정 없이 미리 채워져 있는데, 만약 충족되지 않았더라도 내가 수정을 누르고 대략적인 금액을 입력 후 적용하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3. 그렇다면 소득공제소계와 세액감소 및 세액공제소계가 앞에서 조회한 공제내용을 반영해 계속 계산된 채 정리돼 있다. 여기서 하단의 계산결과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된다.4. 그렇다면 위와 같이 납부해야 할 세금 또는 환급되어야 할 세액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납부세액으로 표시되면 연말정산을 한 후 내가 국가에 더 납부해야 할 금액이고 환급세액으로 표시되면 연말정산 후 내가 돌려받을 금액이라는 사실! 이렇게 미리 확인하면 그래도 마음은 편안하다. 아무쪼록 정성스럽게 미리 잘 챙겨서 환급받을 수 있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4. 그렇다면 위와 같이 납부해야 할 세금 또는 환급되어야 할 세액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납부세액으로 표시되면 연말정산을 한 후 내가 국가에 더 납부해야 할 금액이고 환급세액으로 표시되면 연말정산 후 내가 돌려받을 금액이라는 사실! 이렇게 미리 확인하면 그래도 마음은 편안하다. 아무쪼록 정성스럽게 미리 잘 챙겨서 환급받을 수 있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